한국의 다리 풍경
한국의 다리 풍경. 어딘가를 여행가면 그 다리가 어떤 의미인지는 모르지만 나도 모르게 아이와 사진을 찍게 된다. 다리에서의 그 느낌과 풍경이 항상 마음에 와닿아서 기록에 남겨두고 싶어서말이다. 그러다 의미를 모르고 마냥 사진에 담고, 그 다리에서 아이랑 경치를 구경하거나 건너가는 재미를 느끼기만 하다가 이번에는 그 다리의 이야기를 접하는 시간을 갖게 되어 좋았다. 다리라는건 이 책 들어가는 이야기에서 저자가 말해주듯 참 의미가 많은것 같다. 물론 본문에 들어가면 그 다리들의 정말 다양한 사연과 이야기가 있지만 우선 들어가는 이야기에서만 보더라도 다리라는건 구분을 짓는 의미가 될수도 있고 연결고리가 될수도 있는 참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어떻게 의미를 부여하느냐에 따라 다른 거라는걸 새삼 느끼면서 시작하게 해주고 있다. 각 지역별로 나눠져 있는 다리이야기는 정말 정성을 가득 담은 책이라는걸 들어가면서부터 느끼게 해준다. 참 다양하게 쓴 글씨체들과 다양한 사진들과 그 사진 속 메모들은 정말 작가가 얼마나 신경을 쓰고 공을 들인 책인지 알려준다. 첫번째로 나와있는 강원경기 서울은 5곳, 경상도 충청도는 두곳, 전라북도와 전라남도는 다섯곳과 여섯곳으로 저자의 이력과 연관이 깊게 전라도를 잘 아시는 분이라 전라도 다리 이야기가 조금은 더 많이 구성이 되어있다. 그래도 난 워낙 전국이 다 좋은지라 약간의 편중은 아쉬웠지만 저자가 더 잘 아는 지역이고 이야기인지라 더 재미있게 알차게 읽을수 있는 부분이었다. 많은 옛 이야기들과 문학적인 이야기들, 현재의 이야기들뿐만 아니라 옛 사진이며 현재의 사진, 계졀의 변화에 따른 사진등 다리하나를 가지고 참 다양하고 많은 이야기들을 들려주는 저자가 신기하기도 하고 감사했다. 난 특히나 마지막 부분에 있는 더하는 이야기 부분이 제일 좋았다. 사진으로 만나는 다리와 궁궐의 다리, 한국 전쟁이 남긴다리, 다리놀이와 축제, 한국의 아름다운길에 놓인 다리 등이 가장 기억에 남고 여행을 갈때나 아이와 궁에 갈때 참고하기 위해서 자주 볼거 같은 부분이었다. 워낙 요즘은 책도 많고 정보도 많고 넘치다 보니 가볍게 쓰여지고 쉽게 쓰여지는 책들도 글들도 많은시대이지만 정성을 들인 책을 오랜만에 본거 같아서 좋았다. 내가 좋아하는 다리를 자세히 이야기 들어서 더 좋은 시간이었고 말이다. 가을이 되면 이 책과 함께 전라도로 여행을 떠나보고 싶다.
길 끝에서 시작되는 마음, 다리
첫사랑의 설렘이 피어나는 곳, 무병장수를 기원하며 걷는 곳, 애국지사 김영상이 자결을 시도한 곳. 이곳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요? 바로 다리로 통한다는 것입니다.
무심코 지나치는 다리가 아니라 이 책을 통해 공간의 마디를 타고 흐르는 간절한 다리 이야기를 전하고자 합니다. 소나기마을의 징검다리에서 첫사랑의 그녀를 떠올리고, 정월대보름에 많은 사람들과 함께 다리를 건너며 올 한해도 삼백육십오일 좋은 날이 되기를 바라고, 우리나라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콘크리트 다리에서 애국지사 김영상을 떠올리기를 바랍니다. 책 속의 이야기를 따라가다 보면 사람들의 어떤 소망이 모여 다리로 이루어졌는지 확인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이제부터는 다리가 있는 풍경을 놓치지 않는 오늘이기를 바랍니다.
들어가며_다리가 내게 말을 걸어옵니다
추천의 글_이종근 기자가 놓은 새로운 다리(나선화 문화재청장)
강원도, 경기도, 서울시
가을의 크리스마스 평창 봉평의 다리
하얀 사랑 앞에선 소나기마을의 징검다리
‘수원8경의 하나’ 화홍교
정조의 효심이 깃든 안양 만안교
청계수 햇빛도 달빛도 흐르는 서울 청계천의 다리
경상도
꽃가마 타고 들어왔다 상여 타고 나가는 무섬의 외나무다리
마음을 이어주던 흔적의 끈 주남돌다리
충청도
28개의 별자리를 응용해 만든 진천 농다리
발효의 세월이 넘나드는 논산 명재고택의 다리
전라북도
하루만 사랑해도 천년의 세월 광한루 오작교
선비도 탐관오리도 거닐었던 정읍 군자정의 다리
금산사, 견훤석성의 무지개 다리는 사라지고…
숙빈최씨와 박잉걸의 기억, 태인의 대각교
애국지사 김영상이 자결을 시도한 새창이다리
전라남도
‘굴뚝다리’로 통하는 보길도 판석보
윤슬에 더욱더 빛나는 천은사의 수홍루
삼별초의 항전 생생한 진도 남박다리
단 하나뿐인 누각 나무다리 태안사 능파각
보안낭자의 치마를 찾습니다! 화순 보안교
돌개 세 마리가 반기는 낙안읍성 평석교
더하는 이야기
사진으로 만나는 다리
궁궐의 다리
한국전쟁이 남긴 다리
다리, 놀이와 축제로 만나다
‘한국의 아름다운 길’ 100선에 놓인 다리
도움을 준 단체 및 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