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책시렁 50《최후의 사전 편찬자들》정철 엮음사계절2017.7.7.“한마디로 ‘이희승 사전’ 때부터 전문용어, 한자어, 백과사전적인 용어를 보태면 어휘 늘리기가 쉬우니까 다 그런 식으로 작업해서 《표준국어대사전》, 《고려대한국어대사전》까지 나아간 거야. 일반 어휘도 어느 정도 보태긴 했지만, 말뭉치 속에 있는 것들을 눈여겨보면서 일일이 거두진 못했지.” (41쪽/조재수)“분야별로 전문가와 학자들이 글을 썼는데, 한계가 있었어요. 학자들은 자기가 아는 만큼 생각해요.” (98쪽/장경식)“‘가다’의 뜻풀이가 어마어마하게 많잖아요. 너무 많아서 문제가 아니라, 그만큼 우리 언중이 ‘가다’를 다양하게 쓰고 있다는 뜻으로 받아들일 수도 있잖아요.” (187쪽/도원영)“영한, 일한, 한영, 한일사전 다 일본에서 개발한 사전을 놓고 작업했어요. 지난날 사전의 부끄러운 모습이죠. 영어사전을 만들 때 영어 쪽 사전을 토대로 만드는 것보다 일본에서 만든 영일사전을 놓고 번역하는 게 훨씬 손쉬운 작업이었으니까요.” (256쪽/안상순) 제가 하는 일은 ‘한국말사전 새로 짓기’입니다. 둘레에서는 이런 일을 하는 사람이 있는 줄 생각하지 못하기 일쑤이고, 조금 생각하더라도 한국말사전을 ‘새로 짓기’를 한다는 대목을 아리송하게 여깁니다. ‘국어사전’이 여러 가지 있는데 굳이 왜 사전을 새로 짓느냐고 물어요. 이때에 먼저 ‘국어’라는 말부터 우리가 털지 못한 찌꺼기라는 대목을 밝힙니다. 일제강점기에 일본 제국주의 우두머리가 이웃나라를 식민지로 삼으며 억지로 밀어붙인 말이 바로 ‘國語’예요. ‘國民·國歌·國鳥·國花’ 같은 일본 한자말이 다 그때에 생겼습니다. ‘국민학교’는 ‘초등학교’로 바꾸어도 ‘국민 여동생’ 같은 말을 함부로 쓸 만큼 한국은 삶넋이 얕아요. 이러다 보니 한국말사전이 엉터리이거나 엉성한 줄 못 깨닫기 일쑤예요. 여태 온갖 사전이 일본사전을 베끼거나 옮겼고, 아직 이 때를 씻지도 벗지도 못한 터라 ‘사전 엮기’가 아닌 ‘사전 새로 짓기’를 해야 한다고도 이야기합니다. 《최후의 사전 편찬자들》(정철, 사계절, 2017)을 읽으면 한국에서 ‘사전 쓰기나 엮기’를 하는 여러 사람을 만날 수 있습니다. 글쓴이가 만난 분 가운데 ‘사전 짓기’를 하는 분은 안 보입니다. 여태 일그러졌던 한국말 속모습을 살펴서, 제대로 피어날 한국말을 가꾸는 사전 짓기를 헤아리는 분은 보이지 않아요. 모두들 말뭉치를 모아서 보기글을 뽑고, 여러 사전 뜻풀이를 견주어서 그나마 나은 뜻풀이로 손질하는 길을 걸은 분입니다. 금성출판사 사전을 엮은 분이 털어놓은 이야기를 살피면, 금성 사전을 내고자 뜻풀이를 하려고 다른 사전 뜻풀이를 오려서 한 자리에 모았더니 모두 엇비슷해서 놀랐대요. 이 모습은 요새도 엇비슷합니다. 국어사전 이름으로 나온 사전이든 영어사전 이름으로 나온 사전이든, 서로 베낍니다. 한국에서 다른 사전 뜻풀이를 안 베낀 사전이라면, 《문세영 사전》하고 《한글학회 큰사전》 두 가지밖에 없었고, 《뉴에이스 국어사전》하고 《푸르넷 초등 국어사전》은 이 베낌질에서 벗어나려고 퍽 애썼습니다. 이밖에 다른 사전은 하나같이 판박이에 닮은꼴입니다. 저는 한국에서 나온 갖은 사전을 샅샅이 읽었기에 이를 깊이 느낍니다. 그나저나 사전을 쓰든 엮든 짓든, 학자나 전문가 아닌 ‘말이 삶에서 태어나고, 삶이 말을 새로 가꾼다’는 대목을 깨달아 즐겁고 슬기롭게 한길을 갈 노릇이라고 느낍니다. 아무 말이나 잔뜩 끌어들여 올림말 숫자를 부풀리는 사전이 아니라, 사람들이 ‘삶을 짓는 생각을 넉넉히 말로 나타낼 수 있도록 돕는’ 사전으로 가야지 싶어요. 앞으로 백 해나 이백 해를 내다보면서 ‘새 사전 짓기’를 하는 바탕이 설 수 있기를 빕니다. ㅅㄴㄹ(숲노래/최종규)
웹사전 기획자 정철은 전작 검색, 사전을 삼키다 를 통해 인터넷과 검색 기술의 발전이 가져온 종이사전의 몰락과 그 결과로 국내의 거의 모든 사전이 20년 가까이 개정되지 않고 있는 현실을 지적했다. 신간 최후의 사전 편찬자들 은 사전 출판사들이 문을 닫으면서 함께 자취를 감춘 사전 편찬자들을 인터뷰한 책이다. 종이사전 콘텐츠를 웹으로 옮기기 위해 사전 편찬자들을 만나러 다녔던 저자는 사전의 전성기 시절에조차 제대로 조명 받지 못했던 이들이 그렇게 소리 없이 사라져가는 것이, 또 사전 편찬이라는 고도의 지적 기술을 우리가 영영 잃어버리는 것이 안타까웠다. 그래서 사전의 유형별로 대표적인 편찬자 한 사람씩을 찾아가 이야기를 듣기로 했다. 과거 그들이 어떤 방식으로 사전을 만들었는지, 무엇을 고민하고 어떤 어려움을 겪었는지 묻고 기록하고 세상에 전하는 확성기가 되기로 했다. 이 책은 우리나라 현대 사전 편찬의 역사를 사전 편찬자들의 말을 통해 기록한 최초의 단행본이자, 사전을 사랑한 한 남자가 그것을 만들어온 이들의 노고에 바치는 헌사, 그리고 웹사전 편찬자와 종이사전 편찬자의 경계를 넘어선 소통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거창한 의미는 접어두고라도 도대체 어떤 사람들이 수십만 개나 되는 단어를 모아 뜻과 용례를 정리해왔을까를 엿볼 수 있는 흥미진진한 책이다.
들어가며 4
1장 사전 앞에서는 언제나 청년인 50년 사전 장인
_ 조재수(겨레말큰사전편찬위원장)
겨레말큰사전 에 관하여 17
우리말큰사전 과 한글학회 23
한글 맞춤법과 사전의 규범성 34
말뭉치와 예문 49
일본어의 잔재와 취음 한자 59
누가 돈을 낼 것인가 63
모든 단어는 독자적이다 68
사전은 가장 발전적인 책 75
사전 편찬자의 사생활 79
2장 브리태니커는 지식의 구조, 사전의 가치를 고민해온 회사
_ 장경식(한국브리태니커회사 대표)
한국어판 브리태니커백과사전 이 나오기까지 87
브리태니커의 사전 편찬자들 96
한창기와 한국브리태니커회사 110
인터넷의 등장과 브리태니커의 대응 116
지식의 구조를 고민하며 부단히 변화해온 브리태니커 125
백과사전의 두 가지 기능, 참조와 교육 130
백과사전과 우리 시대의 교양 133
사전 편찬자의 사생활 142
3장 사전은 둘러앉아 떠들면서 만들어야 해요
_ 도원영(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사전편찬부 부장)
3대 한국어사전 151
고려대한국어대사전 의 비표준, 비규범적 요소들 164
표제어를 둘러싼 논쟁 172
뜻풀이를 어디까지 쪼갤 것인가 186
대사전은 무엇을 해야 하는가 195
무엇이 사전을 만드는가 207
사전 편찬자의 사생활 222
4장 규범이 언어의 발목을 잡아서는 안 됩니다
_ 안상순(금성출판사 사전팀장)
사전은 과거를 참조해 미래를 만드는 작업 231
금성판 국어대사전 과 규범성 234
퇴보하는 사전 편찬 기술 242
사전의 마케팅 251
외국어사전을 만든다는 것 255
읽는 재미, 지적 만족을 주는 사전 261
무엇이 좋은 예문인가 270
규범성과 기술성 273
국가가 말을 다듬는다는 것 279
사전 편찬자의 사생활 286
5장 일본 사전의 유산을 인정하고, 그다음 단계로 나아가면 됩니다
_ 김정남(금성출판사, 민중서림 편집부장)
한 사전 편찬자의 이력서 293
일본 사전의 유산 297
저작권 개념이 없던 시절 사전을 만들던 방식 306
국가도 민간도 외면한 외국어사전 312
한영사전과 영한사전 321
전문가를 어떻게 길러낼 것인가 327
사전 편찬자의 사생활 332
부록 _ 일본의 사전 편찬자를 만나다(류사와 다케시龍澤武)
사전은 ‘정보’가 아니라 ‘지식’을 다루는 책입니다 337
찾아보기 348
카테고리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