왠지는 모르겠지만, 일본 저자들이 철학 다이제스트 책은 잘 쓴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건 아마도, 쉽게 읽히도록 쓰기 위해 저자들은 힘들게 철학을 공부해야 하기 때문 아닐까 싶네요. 우리보다 학문의 기초체력이 우수한 점은 인정할 수밖에 없을 듯 합니다. 회사에 출장 온 일본의 노장 엔지니어가 수십 년 봐왔을 기계를 보기 위해 설계도 부터 꺼내던 장면이 잊히지 않네요. 아무것도 아닌거 같고 너무 현학적이지 않나 싶지만, 철학은 역시 모든 학문의 기초입니다. 사상이 쌓이지 않은 과학과 기술은 아무것도 아닙니다. 철학에 올인한 필요는 없지만, 기초학문이 홀대받고 있는 우리나라가 걱정스러워 지네요.
사이토 다카시의 철학적 경험이 녹아 있는
그 어떤 책보다 흥미진진한 서양철학 입문서
당신도 1분 안에 데카르트를, 3분 안에 서양철학을 설명할 수 있다!
철학 읽는 힘 은 약 2500년이라는 장대한 철학사를 현대에 맞는 해석을 더해 알기 쉽도록 정리한 탁월한 해설서임과 동시에, 저자인 사이토 다카시가 청년 시절 서양사상에 빠져 시도한 여러 일탈적 경험에 대한 고백이기도 하다. 근대적 자아라는 관념에 빠져 연애 자체를 비판하다가 여자 친구에게 보기 좋게 차인 사건이나, 플라톤이 말한 진선미 를 모두 갖춘 인물로 거듭나기 위해 독서에 열을 올렸던 일 등은 재미난 에피소드이기도 하지만, 지금의 그가 흔들림 없는 주체적인 삶을 살아가는 데 자양분이 된 가장 강렬한 지적 모험이기도 하다. 사이토 다카시는 이러한 자신의 철학적 경험을 되살려 그 어떤 책보다 흥미진진한 서양철학 입문서를 펴냈다.
이 책에서 저자가 철학사를 관통하는 키워드로 제시하는 것은 ‘산맥’이다. 사이토 다카시라는 뛰어난 교양지식 안내자는 철학사를 연대기적으로 구성하여 정리하되, 단순히 시대별로 철학자들을 불러내어 그들의 사상을 개별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그치지 않았다. 그는 철학자들이 제멋대로 자신의 사상을 말한 게 아니라 이전 시대의 철학자들의 사상을 인식한 상태에서 그것을 극복하려 했으며, 그 연결고리를 아는 것이 서양철학을 이해하는 지름길이라고 말한다. 그리고 그 연결고리를 찾는 요령을 ‘산맥’으로 이미지화하여 정리하였다.
여는 글
프롤로그 세 가지 ‘산맥’으로 알아보는 서양사상
제1산맥 아리스토텔레스 제국의 건설
1. 소크라테스와 플라톤의 ‘이데아’
스승 소크라테스와 제자 플라톤, 진짜 위대한 사람은? 21
현실은 이데아의 그림자에 불과하다? 24
피타고라스학파와 이데아의 관계 29
서양사상의 서양다움이란? 34
보이는 것을 믿지 않았던 플라톤 37
이데아를 추구하는 인간은 위대하다 42
‘선’이 전부다 45
2. 아리스토텔레스, 모든 것을 설명하겠다는 욕망
서양문명의 ‘멈추지 않는 힘’의 근원은? 48
세계의 모든 것을 설명해버린 아리스토텔레스 52
너무 과했어요, 아리스토텔레스 씨 56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차이 59
이데아는 유전자였다? 62
본질은 눈에 보이지 않는다? 66
서양의 민중은 모두 아리스토텔레스주의자 69
3. 기독교, 만들어진 ‘신’이라는 권력
세계를 설명하기 위한 유일한 원리를 찾아서 72
비판과 부정이야말로 그리스 사상의 주춧돌 75
부정 에너지를 봉해버린 기독교 79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를 이용한 천재 아우구스티누스 83
기독교로부터의 탈출: 자연과학의 탄생 87
서양의 유전자에 새겨진 부정 에너지의 부활 90
제2산맥 근대 합리주의와 철학의 완성
4. 데카르트, 원점은 나다
비판에서 시작된 근대 합리주의 97
나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나는 존재한다 의 진짜 의미 100
코기토와 좌표축의 뜻밖의 관계 105
원점을 설정해 모든 것의 위치를 정하려는 욕망 107
데카르트에 의한 신의 존재 증명 111
5. 칸트, 경험 이전에 있는 것
선천적 인식, ‘아 프리오리’에 대하여 114
무엇이 코페르니쿠스적 전환인가? 120
사람과 개는 다른 세계에 산다 123
단념 끝에 남는 것은? 126
이성으로 지각의 한계를 인식하다 : 초월론적 주관성 129
6. 헤겔, 역사도 이성으로 움직인다
역사를 움직이는 ‘절대정신’ 135
변증법이란 무엇인가 137
인간 이성의 승리 140
근대적 자아의 각성 142
한 번은 근대 합리주의자가 되어보자 145
근대 합리주의의 가치와 한계 148
제3산맥 철학을 때려 부숴라
7. 니체, 마침내 신은 죽었다
니체가 지금도 사랑받는 이유 155
정신의 노예 상태에서 벗어나라 157
푸코가 비판한 복종의 메커니즘 161
자신을 극복하는 초인이 되라 164
정신 변화의 3단계: 낙타, 사자, 어린아이 167
힘에의 의지를 갖고 자신을 긍정하라 170
스스로 인생을 선택할 각오: 영겁회귀 173
인간이 자유롭기 위해 필요한 것 177
8. 하이데거, 이 세계에 ‘있다’는 것
하이데거가 존재와 시간 에서 하고 싶었던 말 181
죽음을 각오하는 삶 184
세계 속에서 우리는 만난다: 세계내존재 188
한 사람 한 사람이 살기 위한 철학 190
건전한 자기긍정감을 갖자 194
편견은 괄호 안에 넣자: 후설의 현상학 197
본질은 직관으로 파악하라 201
주관의 공통부분을 중시하다 : 간주관성 204
이성보다 신체가 중요하다: 메를로퐁티의 현상학 209
신체가 세계를 만든다 211
9. 다윈, 프로이트, 마르트스, 과학인가, 사상인가?
진화론을 통한 신으로부터의 탈출 214
다윈이 진화에 주목한 이유 217
진화론은 과학 이론이자 사상이다 219
프로이트가 발견한 무의식의 힘 224
꿈이 입증한 프로이트 이론의 설득력 225
성적 충동이 모든 것을 움직인다 228
‘관계’에 의미가 있다: 마르크스의 관계론 232
마르크스주의는 과학인가, 사상인가? 237
돈만이 자본은 아니다 239
10. 구조주의, 말 자체에는 의미가 없다
말 자체에는 의미가 없다: 소쉬르의 언어학 242
서양중심주의로부터의 해방: 레비스트로스의 친족 연구 247
인류는 모두 똑같다?: 촘스키의 생성문법 250
함수로 이해할 수 있는 구조주의 253
세계를 발전시킨 구조주의적 사고방식 255
에필로그
카테고리 없음